생활정보 / / 2023. 1. 19. 19:19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반응형

윤석열 정부의 청년 핵심 공약인 5년 동안 5천만 원 만들기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올해 6월 전격 실시되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2030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한 목적으로 출시되는 정부지원 사업으로 본인 월 납입금, 은행이자 외 정부기여금을 지원하여 만기 시에는 이사소득세 비과세 혜택으로 목돈 마련의 기회를 준다는 취지에서 진행되는 사업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2. 가입조건

     

    대상 : 만 19세 ~ 34세 이하 청년 (남자의 경우 병역 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계산에서 제외)

    신청시기 : 2023년 6월 중 예정

    가입조건 :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 가구 중위 소득 180% 이하

    한도 : 월 40 ~ 70만 원 

    납입기간 : 5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이번 6월 예정인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서는 가구 중위 소득 180% 이하로 개인의 소득뿐만 아니라 가구 총소득도 함께 보기 때문에 기존 희망적금 때보다는 조건이 까다로워졌습니다. 가구원의 범위는 본인의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된 가족으로 신청자의 직계존비속, 형제, 자매가 해당됩니다. 대상 나이에 해당하더라도 무직상태라면 신청이 불가능하며 군대를 다녀온 사람의 경우 만 34세 이상이어도 병역기간 (최대 6년)을 제외하고 반영하여 계산합니다.

     

     

     

     

     

    3. 2023년 기준 중위소득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1인 가구 3,740,206원
    2인 가구 6,221,079원
    3인 가구 7,982,669원
    4인 가구 9,721,735원
    5인 가구 11,395,238원
    6인 가구 13,010,366원

     

    1인 가구 기준 374만 원, 2인 622만 원, 3인 798만 원, 4인 972만 원, 5인 1,139만 원, 6인 1,301만 원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가구 전체의 소득이 충족되어야 하니 위의 표를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4. 정부기여금 한도

     

    연소득 본인 월 납입금 정부 고정기여금 저축비례
    정부기여금
    월 총
    납입금
    ~ 2,400만원 이하 30 만원 20 만원 20 만원 70 만원
    2,400 ~ 3,600만원 이하 50 만원 20 만원 0 70 만원
    3,600 ~ 4,800만원 이하 60 만원 10 만원 0 70 만원
    4,800만원 초과 70 만원 0 0 70 만원

     

     

     

    연소득 4,800만 원 초과 청년에 대해서는 정부기여금 지원에 해당되지 않지만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내년도 연말정산을 위해서 가입해 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정부 지원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시기는 올해 6월 경으로 예정되어 있지만 정확한 신청일이나 신청방법은 아직 공지되지 않았으므로 추후 공지되는 부분을 확인하여 놓치지 않고 가입하시면 좋을 듯싶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