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눈이 오거나 추위로 인해 도로 결빙으로 아찔한 차량 미끄러짐을 경험한 적 있으신가요? 포장도로 또는 아스팔트 색상으로 도로 표면이 얼어 검게 보이는 블랙아이스. 운전 중 블랙아이스로 사고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하시죠? 지금부터 블랙아이스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블랙 아이스란?
블랙 아이스는 일반적으로 특정 기상 조건에서 형성됩니다.
비가 내리는 동안 빗방울이 차가운 표면에 닿으면 얼어붙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도로에 형성되는 얼음층을 말합니다. 도로 색상이 어두워 눈에 잘 띄지 않아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블랙 아이스라고 합니다.
2. 블랙 아이스의 위험성
블랙 아이스는 매우 투명하며 종종 밑에 있는 표면의 색상을 띠어보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가시성 부족으로 인해 운전자와 보행자가 방심하여 교통사고나 넘어짐 사고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블랙 아이스 사고 예방법
- 새벽시간이나 눈, 비가 온 다음날에는 특히 조심합니다.
- 커브길, 터널 입구, 고가 도로, 그늘진 도로 등을 조심합니다.
- 기상정보, 교통정보를 미리 파악하고 도로 상황을 주시하며 주행합니다.
- 급가속, 급제동, 급회전, 급출발 등 무리한 핸들 조작을 주의합니다.
- 평소 속도, 규정 속도보다 절반으로 감속하여 주행합니다.
- 앞차와의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합니다.
- 타이어의 적정한 공기압과 마모상태를 유지하면 제동저리를 줄 일 수 있습니다.
4. 블랙 아이스 대처법
운전대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제동력이 떨어지므로 역핸들 조작을 금지합니다.
브레이크, 액셀을 밟으면 차량이 중심을 읽고 도는 스핀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액셀을 밟지 않고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제동력을 떨어 뜨립니다.
겨울철에 자주 발생되는 블랙아이스는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미끄러워 넘어짐으로 골절, 상해사고 등이 빈번히 일어납니다. 걸어 다닐 때는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 주머니에 손 넣지 않고 걸어 다니기, 운전할 때는 타이어 마모 상태 체크, 감속 운전, 안전거리 확보 등 평소보다 더 주의하는 습관으로 겨울철 블랙 아이스 사고를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돈굴리기 상품 찾는 꿀팁 (0) | 2024.01.18 |
---|---|
경기도 겨울축제 끝판왕 양평 가볼만한 곳 (0) | 2024.01.12 |
2024년 연말정산 세액 공제 변경 사항 (0) | 2024.01.04 |
2024년 긴급 복지 생계 지원금 인상 신청하기 (0) | 2024.01.03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자격 가입조건 알아보기 (0) | 2024.01.01 |